반응형
회전근개(Rotator cuff)는 어깨 주위를 감싸고 있는 4가지의 근육을 일컫는 단어입니다. 회전근개 근육 4가지는 각각 극상근(Supraspinatus, 가시위근), 극하근(Infraspinatus, 가시아래근), 소원근(Teres minor, 작은 원근), 견갑하근(Subscapularis, 어깨밑근) 입니다. 아래에서는 각각의 회전근개 근육 기능과 어깨 동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극상근(Supraspinatus, 가시위근)
1) 위치
- 견갑골 윗부분과 상완골 윗부분을 이어줍니다.
2) 기능
- 팔을 90도 까지 위로 올려주는 역할
- 어깨관절이 빠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
- 어깨관절이 관절 구 안에서만 움직이도록 해 주는 역할
3) 손상을 입는 경우
- 겨드랑이 사이에 무거운 것을 끼우고 오래 있을 때
- 팔을 앞으로 뻗어서 당겨질 때 (큰 개의 목줄을 잡고 있다가 개가 갑자기 뛰어갈 때)
2. 극하근(Infraspinatus, 가시아래근)
1) 위치
- 견갑골 뒷편과 상완골 뒷편을 이어줍니다.
2) 기능
- 팔을 외회전, 신전합니다. (손바닥이 바깥으로 향한 상태로 팔을 등 뒤로 뻗는 자세)
- 어깨 관절을 잡아줍니다.
3) 손상을 입는 경우
- 대부분 팔을 뒤로 뻗다가 다칩니다.
3. 소원근(Teres minor, 작은 원근)
1) 위치
- 견관절 외측과 상완골 뒷편을 이어줍니다. - 극하근과 거의 비슷하게 붙어있습니다.
2) 기능
극하근과 비슷하게 붙어있어서 기능도 거의 같습니다.
- 팔을 외회전, 신전합니다. (손바닥이 바깥으로 향한 상태로 팔을 등 뒤로 뻗는 자세
- 어깨 관절을 잡아줍니다.
3) 손상을 입는 경우
- 팔을 뒤로 뻗다가 다칩니다.
4. 견갑하근(Subscapularis, 어깨밑근)
1) 위치
- 견갑골의 안쪽(밖에서 만져지지 않는 부분)에서 상완골의 앞부분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2) 기능
- 팔을 내회전(안으로 돌리는) 동작을 합니다.
- 팔을 내전(겨드랑이를 모아주는) 동작을 합니다.
- 어깨 관절을 잡아줍니다.
3) 손상을 입는 경우
- 수영이나 야구 등에서 팔을 강하게 내리는 경우.
- 오십견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깨의 동작은 저 4가지 회전근개 근육 뿐만 아니라 주위 여러가지 근육들이 서로 도와가면서 움직임을 만듭니다.
어깨 치료를 잘 하기 위해서는 어떤 동작에 아픈가를 잘 살피고 각 해당하는 근육을 전부 다 치료해 주어야 완전한 어깨 치료가 완성이 됩니다.
반응형
댓글